본문 바로가기
알아 두면 쓸데 있는 꿀팁 사전

🌍 한국의 가뭄, 왜 반복될까? | 동해안 취약성과 국가가뭄정보포털 활용법

by 다시ON언니 2025. 9. 3.

가뭄은 일시적 사건이 아니라 반복되는 기후 위기입니다. 한국의 가뭄 원인과 동해안 취약성, 생활 속 절수 방법, 정부 대책, 그리고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취약지도’ 활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강원도 강릉의 가뭄 현장, 바닥이 갈라진 저수지와 물을 뜨는 주민 모습
▲ 강원도 강릉 저수지가 메마른 모습. 주민이 남은 물을 퍼 올리고 있다

1) 가뭄, 왜 매년 반복될까?

  • 계절적 강수 부족 → 특정 지역은 구조적 가뭄이 상시화
  • 기후변화로 장마·폭우가 지역별로 쏠림 → 강수 양극화 심화
  • 가뭄은 일시적 뉴스가 아니라 상시 재난으로 인식 전환 필요

2) 한국에서 가뭄이 심한 지역

  • 동해안(강릉·속초·양양): 태백산맥 비그림자 효과 + 푄 현상으로 상대적 강수량 적음
  • 서남부 내륙(전남·경남 일부): 여름 고온·겨울 건조, 지하수 의존 높음
  • 도서 지역: 상수원/보조수원 부족으로 제한급수 빈번

3) 가뭄의 주요 원인 (기후·지형·인프라)

  • 기후: 마른장마, 폭염, 열돔 → 증발산↑·토양 건조↑
  • 지형: 태백산맥 동사면은 비구름 차단·하강가열(푄) → 저 강수 + 저장 곤란
  • 인프라: 저수지·지하댐 부족, 상수도 노후/누수, 단일 수원 의존

4) 생활 속 가뭄 극복 방법

  • 절수 습관: 양치컵·절수 샤워기, 설거지 ‘불림→헹굼’ 분리, 샤워 시간 3분 단축
  • 물 재이용: 세탁 헹굼수 재활용, 베란다/화분 급수에 활용
  • 빗물 활용: 소형 빗물통(레인바렐) 설치, 옥외 청소·조경에 사용
  • 정보 확인: 지자체 급수차·비상 급수대 운영 공지 상시 확인

5) 정부·지자체 대책 및 정책 방향

  • 분산형 수자원: 지하수댐·관정·하수 재이용·빗물저장 등 다중 수원 체계
  • 상수도 개선: 누수율 저감, 인접 수계 간 긴급 전환 관로 구축
  • 데이터 기반: 기후 리스크 예측·조기경보, 취약지역 맞춤 지원 확대
  • 거버넌스: 중앙–지자체–주민 협력형 물 관리 체계

6)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취약지도’ 활용법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취약지도는 지역별 가뭄 위험을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 분석 요소: 수원 공급능력 × 가뭄 노출도 × 민감도 × 보조수원 능력
  • 활용 팁:
    • 동해안(강릉·속초·양양) 취약도 비교 → 상대 위험도 파악
    • 우리 동네 취약지수 확인 후 생활·정책 대책에 반영

🔎👉 우리 지역의 가뭄 취약도는 얼마나 될까요?  : 가뭄취약지도 바로가기

 

국가가뭄정보포털

가뭄관련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가뭄정보포털

www.drought.go.kr

 

7) 자주 묻는 질문(FAQ)

Q. 왜 가뭄은 동해안에 집중되나요?
A. 태백산맥 동사면(영동)은 비구름이 차단되고, 하강한 공기가 따뜻·건조해지는 푄 효과가 나타나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Q. 가뭄은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나요?
A. 네. 온난화로 강수 양극화(어느 지역은 폭우·다른 지역은 무강수)가 심해지며 가뭄 빈도·강도가 증가합니다.

 

Q. 생활 속 절수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A. 누수 점검절수형 기기 사용, 샤워 시간 단축이 체감 효과가 가장 큽니다.

✨ 마무리

가뭄은 한국에서 해마다 반복되는 구조적 기후 위기입니다. 개인의 절수 습관부터, 지자체의 분산형 수자원 확보, 그리고 국가 차원의 취약지역 맞춤 대책까지 다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특히 국가가뭄정보포털을 활용해 우리 지역의 위험도를 확인하고, 생활·정책 수준에서 사전 대비를 강화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