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 두면 쓸데 있는 꿀팁 사전

2025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 부과기준 · 안 내면 생기는 불이익 총정리

by 다시ON언니 2025. 9. 18.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9월 16일부터 30일까지입니다. 아파트 재산세 부과 기준, 납부 방법, 카드 혜택, 감면 제도, 놓쳤을 때 불이익과 현명한 관리 방법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납부를 상징하는 집 모형과 열쇠, 재산세 고지서 서류
2025년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부과 기준, 감면 제도를 확인하세요.

아파트 재산세 부과 기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즉, 6월 1일에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다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는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6월 2일에 아파트를 팔았다 하더라도 6월 1일에 소유자였다면 그 해 재산세는 매도인이 부담합니다. 이 때문에 부동산 거래 시 재산세 정산 절차가 함께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 1기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9월 16일 ~ 9월 30일

아파트 재산세 납부는 전체 세액의 절반씩 분할 납부가 원칙이지만, 연간 재산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만 납부하고 9월 고지서는 나오지 않습니다. 반대로 20만 원을 초과하면 반드시 두 번에 나누어 납부해야 합니다.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므로 이번 기간을 놓치지 말고 챙기셔야 합니다.

 

아파트 재산세 납부 방법

  1. 위택스(PC/모바일): 지방세 조회 및 즉시 납부
  2. 스마트 위택스 앱: 삼성페이·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활용
  3. 은행 창구 및 ATM: 고지서 지참 후 납부 가능
  4. 카드사 앱·홈페이지: 포인트 차감, 무이자 할부 지원
  5. 자동이체: 매년 자동으로 빠져나가 깜빡 잊을 염려 없음

👉 지방세 전자납부는 위택스에서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재산세 카드 혜택

카드사 무이자 할부 추가 혜택
신한카드 2~6개월 마이신한포인트 적립
국민카드 2~3개월 KB Pay 캐시백
현대카드 2~7개월 M포인트 사용 가능
삼성카드 2~6개월 삼성카드 포인트 적립
롯데카드 2~5개월 엘포인트 적립

재산세 납부 지연 시 발생하는 가산세와 벌금을 상징하는 달러 지폐 이미지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카드 이미지아파트 건물을 통해 설명하는 재산세 부과 기준과 납부 대상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부과 되며, 위택스를 통한 신용카드·계좌이체 납부 가 가능하고, 납기일을 넘기면 가산세와 벌금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감면 제도

  • 고령자·장애인 감면: 만 65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이 본인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일부 감면
  • 다자녀 가구 감면: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주택분 재산세 일부 감면
  • 신축주택 감면: 일정 기간 내 신축 공동주택은 세액 감면 혜택
  • 농어촌주택·귀농귀촌: 농어촌에 주택을 새로 취득하거나 이주한 경우 일정 기간 감면
  • 특례 감면: 신재생에너지 주택, 임대주택 등 지자체 조례로 정한 경우

👉 감면 여부는 반드시 관할 구청 세무과 또는 위택스에서 확인하세요.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놓치면 생기는 불이익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한을 놓치면 곧바로 가산세가 붙습니다. 미납액의 3%가 즉시 부과되고, 이후 매월 0.75%의 중가산세가 누적됩니다. 체납이 장기화되면 독촉장 발송, 통장·자동차 압류, 부동산 경매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신용정보에 체납 기록이 남아 금융거래에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아파트 재산세는 누가 내나요?

✔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납부합니다. 6월 2일에 팔았다 하더라도 6월 1일 소유자였다면 매도인이 내야 합니다.

 재산세는 꼭 두 번 내야 하나요?

✔ 연간 세액이 20만 원 초과 시 7월과 9월에 분할 납부해야 합니다. 20만 원 이하라면 7월 한 번만 납부하면 됩니다.

 감면 혜택이 있나요?

✔ 고령자, 장애인, 다자녀 가구, 신축주택, 농어촌 귀촌 가구 등은 감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지자체 조례마다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

✅ 2025 재산세를 현명하게 관리하는 5가지 방법

  1. 감면 대상 확인: 1주택자, 고령자, 다자녀 가구, 창업기업 여부를 확인해 세액을 줄이세요.
  2. 6월 1일 기준일 전략: 부동산 계약 시 소유권 이전일을 꼼꼼히 확인해 세금 분쟁을 예방하세요.
  3. 전자납부 + 자동이체: 편리하게 납부하고 세액 공제 혜택까지 챙기세요.
  4. 가산세 방지: 납기일 하루 이틀 전 미리 납부해 연체 위험을 피하세요.
  5. 분할납부 활용: 고액 납부자는 분할납부로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세요.

아파트 재산세 납부 총정리

아파트 재산세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6월 1일 소유자, 7월·9월 납부라는 단순한 원칙만 기억하면 충분합니다. 올해 2기분 납부기간은 2025년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입니다. 미리 알림을 설정해두고, 감면 제도와 카드 혜택까지 활용해 똑똑하게 절세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추석 민생소비쿠폰 혜택 총정리 |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 지금 바로 확인하고 절세와 생활비 절약에 도움 되는 정보를 챙겨가세요.

반응형